[김대호의 경제읽기] 가계빚 1,765조 기록…한은, 내일 기준금리 결정<br /><br /><br />가계빚이 또 다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로 인한 생계형 대출부터 주식과 가상화폐 '빚투', 내 집 마련을 위한 '영끌' 등이 배경으로 꼽히는데요.<br /><br />금리 인상 조짐이 보이며 가계에 미칠 여파에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내일 한국은행은 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인데요.<br /><br />내용, 전망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올해 1분기 가계빚이 사상 최대치인 1,765조 원을 기록했습니다. 1년 전보다 153조가 넘게 늘어난건데 가계빚이 폭증한 배경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물가가 오르고 인플레이션 우려가 나오며 금리 인상 조짐도 나오고 있습니다. 가계빚이 기록적인만큼 금리가 오를 경우 경제 여파도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요. 이런가운데 내일 기준금리를 논의하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라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동결을 예상하는 목소리가 많던데 어떻게 전망하시나요? 한은에서 시장에 어떤 메시지를 전해야할까요?<br /><br /> 오는 6월 1일부터 부동산 세제가 대폭 바뀌게 됩니다. 다주택자에 대한 재산세·종합부동산세가 강화되고 양도소득세 적용, 그리고 임대차 3법 중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되는건데요. 지금과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짚어주신다면요?<br /><br /> 다주택자 세 부담이 강화될 경우 매물이 늘어날거란 기대감이 있었지만 오히려 시장에선 거래 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호가는 더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. 왜 매물이 나오지 않는걸까요?<br /><br /> 부동산 대란은 비단 우리나라 문제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. 미국도 치솟는 주택가격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건데요. 백악관도 3월 주택가격이 1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 미국 집값, 왜 이렇게 오른건가요? 우리가 왜 미국 주택가격 급등 문제도 눈여겨봐야하는지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미국 집값이 계속 불안정한 모습을 보일 경우 백악관과 연준 입장에서는 통화정책을 판단할 때 또 하나의 주요 고려 요소가 생기는 셈이 되는데요.<br />이런 상황 속 연준 부의장이 "앞으로 다가올 회의에서 자산매입축소를 논의할 시기가 오게 될 것"이라고 밝혀 의미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 통화 긴축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는 해석도 나오는데 미국이 긴축으로 전환할 경우 우리 경제에 어떤 여파가 있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